
뷰폴리 & 설치작업 “자율건축”
문훈
리얼리티즈 유나이티드,
팀 에들러 & 얀 에들러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주변의 일종의 전망대 폴리이다. 이 특별한 전망대에서는 광주와 관련된 경관이나 미디어 아트 연출을 조망할 수 있다. 뷰폴리 자체도 일종의 포토존이 되는 특별한 외관으로 형성 될 것이며, 만화적 스케치로 유명한 건축가 문훈과 그라츠 쿤스트하우스 미디어스킨Media skin for the Kunsthaus Graz in Austria, 2003 작업을 진행한 독일의 미디어 아티스트그룹 realities : unitedJan & Tim Edler가 참여한다.
리얼리티즈 유나이티드,
팀 에들러 & 얀 에들러
2016 | 미래 빌딩Haus der Zukunft 공공예술부문 당선작, 베를린, 독일 |
2015 | 공공예술부문 로져스 경기장Rogers Arena 당선작, 에드몬튼, 캐나다 |
2013 | 비트라 디자인 박물관 전시, 바일 암 라인, 독일 |
2012 | 강변수영장Flussbad 홀심어워드 동상 수상 |
2011 | 뉴욕현대미술관 전시, 뉴욕, 미국 |
2011 | Amagerforbraending 쓰레기 재처리시설 현상공모 당선작바르크 인겔스 공동, 코펜하겐, 덴마크 |
2009 | 아트 프라이스Art Price, 베를린, 독일 |
2015 | 한반도 오감도, 아르코미술관 |
2014 | 한반도 오감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
2014 | 윈드 하우스Wind House, 제주 |
2013 | 케이팝 커브K-POP Curve, 성남 |
2013 | 롤 하우스Roll House, 밀양 |
2012 | 롤리팝 하우스lollipop House, 용인 |
2009 | ‘미지의 땅Terra Incognita’ 청계창작스튜디오 1층 갤러리 |
한마디로 맛집형 폴리로, 쇠락한 도시에 비집고 들어가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바텀업Bottom-up 방식을 통해 도시재생의 모델이 되는 폴리를 기대하고 있다. 특히 지역의 요식관련 청년들을 모집하여 이들이 함께 파트너로 참여하는 사회적 이슈도 함께 진행한다. 이미 이태원 장진우 골목에서 시작하여 스핀들 마켓에 새로운 푸드 코트형 점포를 설립해 젊은이들의 우상이 된 장진우가 기획가로 참여한다.
2015 | ‘니키타 파스타 앤 버거’ 오픈 / ‘스핀들 마켓’ 오픈(푸드코트) / ‘칼로 앤 디에고’ 오픈(카페&바)/ 압구정 갤러리아 내 ‘프랭크’ 입점 / ‘마린타코’ 오픈(멕시코 음식점) |
2014 | ‘마틸다’ 오픈(이탈리아, 프렌치 레스토랑) / ‘장진우 창업스쿨’ 운영 |
2005 | 중앙대학교 국악관현악 및 사진학과 광고사진 복수전공 |
광주비엔날레재단과 네덜란드창조산업기금Netherlands Creative Industry Funds은 광주시에 대한 양국 건축가의 리서치를 토대로 ‘도시의 일상’을 새롭게 체험하는 폴리를 제안한다. 다양한 오브제와 프로그램 그리고 공간을 통해 새로운 폴리의 잠재성을 제시한다. 네덜란드의 대표적 건축가그룹 MVRDVWiny Maas와 한국의 대표 건축가 조병수가 함께 협업하며 진행한다.
위니 마스, MVRDV
2016 | GCSC 유럽혁신상, 마르크탈, 로테르담, 네덜란드 |
2015 | 로테르담 건축상, 마르크탈, 로테르담, 네덜란드 |
2015 | 네덜란드 중앙은행DNB Bank 유러피언 스틸 컨스트럭션 어워드 수상, 오슬로, 노르웨이 |
2015 | 상해 홍자오 공항빌딩, 상해, 중국 |
2014 | 마켓홀MARKET HALL, 로테르담, 네덜란드 |
2013 | 청하빌딩CHUNGHA BUILDING, 서울, 한국 |
2012 | 북마운틴 공공도서관PUSHED SLAB, 스피니케니세, 네덜란드 |
2015 | 사우스케이프 주택단지 마스터 플랜 및 주택설계/감리/C.M |
2014 | 한국건축가협회상 수상 |
2014 | 5.18 광주 민주 인권평화 기념관진행 중 |
2014 | 안중근 기념관 |
2013 | 미국 몬태나주 건축가협회 최고상 |
2011 | 청담동 Louis Vuitton현상설계 |
2010 | 김수근 문화상 수상 |
2005 | 영국 파이돈Phaidon 선정하는 세계100대 건축가 선정 |
일종의 놀이형 폴리로서 한국의 국형걸 건축가와 미디어아티스트 신수경 작가, 덴마크 아르후스 대학의 교수이자 건축가인 라이프 한센이 참여하고 있다. 폴리가 가지는 장소의 한계를 극복하고 광주 곳곳에서 유동적으로 확장 설치가 가능하고 다른 작품과 연계하여 공공이벤트 진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2015 | 어반메니페스토 아카이브전, 문화예술위원회 |
2015 | 저서, 건축의 지역성을 다시 생각한다Re: thinking locality in architecture |
2014 | Part to Whole설치구조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
2013 | Bilateral Theatre I설치구조물, 서울시립미술관 |
2012 | Opening Chronometry설치구조물, 이화여자대학교, 2012 |
2011 | Plis/Replis설치구조물, 랑스, 프랑스 |
2016 | 건축문화제 한강 건축상상전 기획, 서울, 한국 |
2015 | 건축문화제 한강 건축상상전 기획, 서울, 한국 |
2013 | 전시, ‘미디어에서의 상호작용’, 브릭미디어미술관, 뉴욕, 미국 |
2012 | 가버너스 아일랜드 아트 페어 아티스트 셀렉션, 뉴욕, 미국 |
2011 | ”모든-빛(All-Light)”, 디지털 미디어, 서아트 갤러리, 뉴욕, 미국 ”불안과 욕망(Anxiety and Desire)”, 아트게이트 갤러리, 뉴욕, 미국 |
2010 | ACM SIGGRAPH, LA, 미국 |
2008 | ACM SIGGRAPH Asia(ACM 시그래프 아시아), 싱가포르 |
아르후스 건축학과 부교수, 덴마크 / 스튜디오 컨텍스트CONTEXT 건축소장, 덴마크, 이탈리아, 인디아 / 도코모모DOCOMOMO, Documentation and Conservation of buildings, sites and neighborhoods of the Modern Movement / 근대운동에 관한 건물과 환경 형성의 기록조사 및 보존을 위한 조직 부의장, 덴마크
참여형 폴리로 재미있는FUN, Fun Urban Networking, 그리고 이야기를 만드는PUN, Positive Urban Narratives 크라우드 소싱의 폴리로 기획되었다. 1차로 대국민 아이디어 공모전을 통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선발한 바 있으며, 2차로 이들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광주와 광주 이외 지역의 건축가와 아티스트 8팀을 초대해 공모전을 진행하였다. 최종 심사에서 4팀을 선발하여 시민과 전문가 평가단의 토론과 결선투표를 통해 당선작을 선발하였다. 한국 건축계 혁신의 아이콘인 건축가 김찬중과 지역의 글로벌 아티스트 진시영이 최종 선정되어 참여하고 있다.
2015 | 리모델링 건축대전 수상 |
2015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문화의 날 행사 초대작가, 서울 |
2013-2014 | 서울시 건축상 수상 |
2013 | 인도 한국문화원 초청 전시, 뉴델리, 인도 |
2012 | SK 행복나눔재단 사옥 |
2011 | 폴 스미스 플래그십 스토어 |
2011 | 국립현대미술관 큐브릭 |
2010 | 하버드 대학교 초청 한국의 현대건축 12인전, 캠브리지, 미국 |
2015 | ‘Light Club’ 이랜드 본사 이랜드 스페이스, 서울 |
2015 | ‘인간은 하나의 별이다,,,FLOW’ 로고스전원갤러리, 의왕 |
2013-2015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부 미디어기법연구 외래교수 |
2011 | 광주미술상, 광주미술상위원회 |
2010 | ‘진시영의 Video & LED Installation’ 크라운 해태 갤러리, 서울 |
2008 | ‘Two Wheels’ 타이베이 아티스트 빌리지 갤러리, 타이베이, 대만 |
2005 | 하정웅 청년작가상, 광주시립미술관 |